세종대왕기념관이란?
“한글과 과학, 음악이 한 곳에 모인 곳 — 세종의 정신을 마주하다”
세종대왕기념관(世宗大王紀念館)은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에 위치한 기념관으로, 조선 제4대 왕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기리고 이를 후대에 전하기 위해 건립된 문화 공간입니다.
1968년 기공하여 1970년 준공하였고, 1973년 한글날에 정식 개관하였어요.
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운영 주체이며, 한글·과학·국악 등 다양한 전시실과 야외 유물 전시 공간을 갖추고 있습니다.
위치 및 기본 정보
항목 | 내용 |
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6 (청량리동) | |
1호선 청량리역 2번 출구 → 도보 15분 | |
하절기(3~10월): 09:00 ~ 18:00
동절기(11~2월): 09:00 ~ 17:30 (마감 30분 전 입장) | |
매주 월요일, 설날·추석·신정 등 공휴일 | |
성인 3,000원 / 청소년·어린이 1,500원 | |
대지 약 18,500㎡ / 연면적 약 2,475㎡, 지하 1층 + 지상 2층 건물 구조 |
전시 구성 & 주요 볼거리
세종대왕기념관은 내부 전시실과 옥외 전시 유물이 조화를 이루며, 여러 주제별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요.
전시실 구성 예시:
•
일대기실: 세종대왕의 초상(어진)과 그의 일대기를 그린 그림 및 기록물 전시
•
한글실: 훈민정음 창제 관련 문헌, 세종 시대의 도서류 전시
•
과학실: 측우기, 물시계, 해시계 등 조선 시대 과학 기구와 천문 관련 자료 전시
•
국악실: 전통 악기, 악사·의복 자료 등 세종 시대 음악문화 자료 전시
•
옥외 전시: 보물 제1805호인 세종대왕 신도비, 구영릉 석물, 수표(보물 제838호) 등 유물 전시
이외에도 과거 덕수궁에서 옮겨온 세종대왕 동상 등이 야외에 전시되어 있어요.
[출처: 서울미래유산]
추천 관람 팁 & 동선
•
입구 → 일대기실 → 한글실 → 과학실 → 국악실 → 옥외 전시장
•
관람 시간 약 1~1.5시간 여유 있게 잡기
•
계절이나 날씨 좋은 날 야외 전시 유물을 중심으로 촬영 추천
•
내부 전시장에서는 자료 보호를 위해 조명이 약하거나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장비 사용은 주의
유의사항 & 참고사항
•
일부 구역은 사진 촬영 제한이 있을 수 있어요
•
전시장 내부는 조용히 관람하는 태도가 권장됩니다
•
관람 종료 30분 전까지 입장 가능하므로 시간을 미리 체크하세요
•
문화재 보호를 위해 전시품은 만지거나 접촉 금지
마무리하며
세종대왕기념관은 단순한 박물관이 아니라, 한글 창제 정신과 과학·예술 융합의 철학을 한 공간에 담은 곳입니다. 세종의 시대를 잠시 걸으며 그의 업적과 정신을 마주해보는 하루, 더 깊은 한국의 정체성을 느끼기에 좋은 여정이 될 거예요.

